반응형

여성가족부에서 여성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생리대 바우처(구매비용) 지원 사업을 실시합니다 ~~~
국민행복카드로 선호 제품을 직접 선택해서 구입할 수 있는데요 ~
한번 신청하고 계속해서 지원받을 수 있다니 저를 따라 바로 신청해보세요 !!


- 개요 : 여성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한 생리대 바우처 지원
- 지원대상자격기준을 충족하는 만9세 ~ 24세 여성청소년
자격기준 :
- - 「국민기초생활보장법」 따른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 급여 수급자
- - 「국민기초생활보장법」 따른 법정차상위계층
- - 「한부모가족지원법」 제5조 및 제5조의2에 따른 지원대상자
- 지원내용생리대를 구입할 수 있는 바우처 포인트 지원 (월 13,000원) 신청한 월을 기준으로 상·하반기 나누어 6개월분씩 지원, 단 최초 신청 시에는 신청한 달부터 지원
(예: 5월에 신청하면 상반기 2개월분(5월~6월) 지급하고, 7월에 하반기 6개월분 지급)바우처는 해당연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여야 하며, 잔여 바우처는 다음연도 1월 1일에 전액 소멸 - 자격 변동으로 바우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잔여 바우처 전액 소멸
- 생성된 바우처는 편의에 따라 한 번에 전액을 사용하거나, 나누어 사용할 수 있음
- 신청방법
- - 신청권자 : 청소년 본인 또는 주양육자(부모, 법정대리인 등)
* 부모의 사정으로 지원신청이 어렵거나 주양육자가 부모가 아닌 경우 청소년의 양육을 주로 담당하는 자가 신청할 수 있음 - * 만 14세 미만 청소년의 경우 보호자 동의 필요
- 신청 방법- 방문 :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 및 읍·면 사무소
* 대리인 신청 : 신분증, 주양육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(가족관계증명서 등) 지참 - - 온라인 : 복지로 누리집, 복지로 어플
- - 신청권자 : 청소년 본인 또는 주양육자(부모, 법정대리인 등)
- 사용방법신청인 또는 청소년 본인 명의의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아 카드사별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생리용품 구매
* 기존에 발급받은 국민행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, 국민행복카드가 없는 경우 카드사에 신청하여 발급 하여야 함
* 지원대상자 결정 및 바우처 생성 통지 받은 후 사용 가능 (문자, 우편 발송)
* 신청인 외 보호자 명의 국민행복카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동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카드사용자를 변경하여야 함
* 온라인 구매 시 ‘바우처 결제’ 선택 후 결제 (자세한 사항은 바우처 콜센터(1566-3232)로 확인)<국민행복카드사별 가맹점>
카드사(콜센터)발급문의온라인오프라인BC카드 1899-4651 지마켓, 옥션, 먼슬리씽(앱), 페이북쇼핑, 우리WON마켓, 국민행복몰 홈플러스(익스프레스 포함), 이마트, 이마트트레이더스, 농협하나로마트, CU편의점, GS25편의점, 노브랜드, PK마켓, GS더프레시, 부츠(boots) 삼성카드 1566-3336 삼성카드 쇼핑몰, 국민행복몰 홈플러스(익스프레스 포함), 이마트, 이마트트레이더스, 농협하나로마트, CU편의점, GS25편의점, 노브랜드, PK마켓, GS더프레시, 부츠(boots) 롯데카드 1899-4282 올마이쇼핑몰 홈플러스(익스프레스 포함),농협하나로마트, CU편의점, GS25편의점, 롯데마트, VIC마켓 신한카드 1544-8868 신한카드 올댓쇼핑, 국민행복몰 GS25편의점, CU편의점 KB국민카드 1599-7900 KB국카몰,국민행복몰 GS25편의점, CU편의점 - 문의지원자격 해당 여부 :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바우처 잔액, 사용방법 등 : 1566-3232 또는 www.socialservice.or.kr

반응형
'생활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도비 브릿지(Adobe Bridge) 사용법, 사진 선택/셀렉과 등급 매기기 (0) | 2023.03.15 |
---|---|
당신만 모르는 알뜰교통카드(feat. 청년교통비지원) 신청방법 (0) | 2023.03.13 |
(new)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(0) | 2023.03.09 |
“근로시간 제도 패러다임의 대전환”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 (0) | 2023.03.07 |
주4일제, 4.5일제 가능해진다?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 이해하기 (0) | 2023.03.07 |